유인균(유익한 인체의 미생물)이야기 - 미생물의 숙주인 인간의 통신도청 > 공지사항

공지사항

생명공학 분야의 선두주자로서 신뢰성 있는 연구성과를 제공합니다.

유인균(유익한 인체의 미생물)이야기 - 미생물의 숙주인 인간의 통신도청

작성자관리자

  • 등록일 15-02-04
  • 조회5,019회
  • 이름관리자

본문

유인균(유익한 인체 내 미생물) 놀라운 '초능력'의 세계
 
16c4412393beeb7f4a80401b96748d09_1451888102_8.JPG
 
 
유인균은 '서로 언어 전달을 하며 인간 통신정보를 도청' 한다.
 
 
16c4412393beeb7f4a80401b96748d09_1451888119_31.JPG
(미생물 배양기)
 
 
미생물들은 자기 생존을 위해 싸운다.
 
모체 내에서 10개월 동안 사는 태아의 몸 안에는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같은 미생물이 기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태어날 때 산도에 있는 엄마의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유인균등을 피부에 코팅받고 코로 입으로 먹기도
하면서 태어난다.
 
이때 아이의 몸에 락토 바실러스 같은 유산균등의 유인균 미생물들이 정착하기 시작하는데 신기한 사실은
 
빈집이나 다름없는 각 기관에 거주할 미생물이 이미 내정돼 있다.
 
즉 장(腸)에 사는 박테리아는 발효(醱酵)전문가들이 주로 정착하고 허파에 거주하는 박테리아는 끊임없이 들어오는 병균을 박멸시키는 전투능력을 가진
미생물 집단이 주로 정착한다.
 
16c4412393beeb7f4a80401b96748d09_1451888128_05.JPG
 
인체의 미생물들이 사는 자치구역을 세밀히 살펴보면 경이롭고 놀랍다.
 
일례로 허파는 약 6억 개의 허파꽈리로 구성돼 있는데 허파꽈리를 평면으로 펼쳤을 때 그 면적은 거의
 
배구 코트장만하다. 그 표면을 빈틈없이 사수하고 있는 박테리아 수는 헤아리기가 불가능할 정도이다.
 
이같이 우리 몸에 기생하는 미생물들은 지역특성에 따라 기능이 다르며 미생물이 각자 자기지역에 완전히
 
정착하는 데는 유아 때부터 약 3년 정도 소요된다. 이때 가족들의 미생물과 비슷해져 미생물에 의한
 
가족력도 생성된다.
 
성인의 경우 미생물의 무게만도 1.25~2.5kg이 이르고 그 종류나 수는 1만종 100조로 분석되었으나
 
이는 특정 연구에 참여한 극히 일부 분의 사람들의 미생물을 파악한 것이고 모든 사람들의 미생물은
 
파악이 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미생물을 인류가 배양하여 분석한 것은 단1%도 되지 않는다.
 
아직 99%는 미지의 세계가 미생물의 세계라는 것이다.
 
16c4412393beeb7f4a80401b96748d09_1451888137_39.JPG
 
인체 박테리아는 유익한 인체 미생물인 유인균 군과 유해한 인체 미생물인 유해균 군들이 존재하고
중간자적인 균도 존재한다.
 
인체는 끊임없이 호흡을 하는데 공기 속에 스며들어 오는 세균은 거의 허파표면에 기생하고 있는
유인균에 의해 박멸된다.
 
허파쪽에 살고있는 유인균이 신체를 병균으로부터 보호하고 있다고 믿지만 실은 유인균들이 자기영역을 사수하려는 행위이다.
 
병균에 침투당해 질병을 앓게 되면 1940년 초 페니실린이란 항생제가 나오기 전까지는 병균과의 싸움은 전적으로 인체의 면역기관과
인체 공생하는 유인균 미생물에 맡기는 수밖에 없었다.
 
16c4412393beeb7f4a80401b96748d09_1451888146_36.JPG
 
병균이나 미생물은 자기 자신을 복제해 차세대를 이어가는데 증식이 빠른 것은 단 18분만에 1억배로 증식하는것도 있으며 이들의 증식은
상상하기 어려운 기하급수로 증식 되어 백혈구로서는 제압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페니실린같은 항생제로 병균의 증식만 막으면 병균의 수명이 대개 불과 2시간 정도로 단명해 곧 소멸하고 만다.
 
항생제 페니실린의 주원료인 푸른곰팡이 앞에서는 여러종류의 미생물이 자기증식을 못하고 소멸돼 페니실린은
수많은 인명을 구할 수 있다.
 
하지만 병균을 포함한 모든 미생물의 생명력은 지난 38억 년 동안 어떠한 천재지변에서도 생존한 저력을 갖고 있어 결국 항생제를 무력화 시킬 수 있게
변신을 하고 만다.
 
이를 항생제에 대한 내성(耐性)이라 하니 페니실린은 이미 약발이 안 먹힌 지 오래 되었다.
 
이렇게 항생제를 이기고 변신한 인체 박테리아나 병균을 수퍼버그라 하는데 현재로서는 이를 퇴치할 아무런 기술이 없다.
 
16c4412393beeb7f4a80401b96748d09_1451888156_5.JPG
 
최근들어 가축이나 농작물에 항생제를 마구 남용해 내성이 생긴 수퍼버그가 식탁에까지 올라와 현재 미국에서 수퍼버그로 사망하는 환자수가
에이즈로 죽어가는 환자보다 많다.
 
또한 미생물이 자기 영역에 알맞게 어떻게 번식을 조절하는지(Quorum Sensing)와 항생제에 대한 내성(Resistant)을 키우기 위한 변신을 연구하던 중
 
미생물들이 아주 미세한 화학분자로 서로 언어를 전달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뿐 아니라 자기가 살고 있는 생명체가 통신하는 정보를 가로채 이해하고 있다는 기상천외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생물은 더 이상 단순히 기계적인 생명체가 아닌것이 밝혀진 이 연구는 영국 미생물학자
 
(Steve Atkinson & Paul Williams)에 의해 발표 되었다.
주소 : 대전 중구 대흥로 28번길6 한국의과학연구원 빌딩
대표전화 : 042-716-2310 ㅣ 대표메일 : kribs@kribs.re.kr ㅣ 연구분석 : outer@kribs.re.kr
AM 9:00 ~ PM 6:00 토요일 / 일요일 / 공휴일 휴무
ⓒ 한국의과학연구원
ADMIN HDWEB